티스토리 뷰

반응형

 

구형 파나메라 970 수리기를 올리면서 거듭 하는 이야기는 구형 포르쉐 오너라면 전용진단기인 piwis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수리는 장비빨이다. 좋은 장비나 분석도구가 있어야 문제 해결력이 올라간다고 생각한다.

 

자, 우리 문제의 교보재인 파나메라 970 실시간데이터를 한번 보면서 얘기해 보자.

 

piwis3로 엔진 흡기 실시간데이터를 열어보는 사진.

 

 

piwis에서 엔진 흡기 관련 실시간데이트를 띄워봤다. 

 

엔진이 돌고 있을 때 공기 흐름량이 24.75 kg/h라고 하고, 스로틀 밸브 전단의 공기압이 1002.47 헥토파스칼이라 하고...어쩌고 저쩌고...

 

여기서 일반적으로 드는 생각은 그래서 24.75가 뭔데. 고장난거야 정상이야?

 

일반인인 우리는 도통 알 수 없다. 카센터 가면 당연히 자신들만의 정비 노하우라면서 설명도 안해주고 데이터 보면서 차에 문제가 좀 큰데요(돈 마니 가져오셨어요?)라고 한다. 

 

하지만 우린 AI의 시대에 살고 있다.

 

과장을 좀 보태면, 포르쉐 센터 레전드급 정비사가 24시간 옆에 서서 도와주고 있으니 쫄지 마시라.

 

이 사진을 그대로 CHAT GPT에게 전달하면서 분석을 요청했다. 

 

-------------------------------------------------------------------------------------------------------------

좋습니다. 올려주신 PIWIS3 진단기 화면을 기준으로 주요 수치를 하나씩 짚어볼게요.


📌 주요 데이터 정리

항목값단위
H010_Air flow when engine is running 24.75 kg/h
P010_Pressure upstream of throttle valve 1002.47 hPa
H065_Intake manifold pressure (measured) 332.17 hPa
H110_Manifold pressure, setpoint value 359.45 hPa
H040_Correction factor, mass air flow 7.928 %
H105_Manifold pressure (filtered) 356.88 hPa
H075_Boost pressure sensor adaptation 0.08 hPa
H070_Intake manifold sensor adaptation 18.66 hPa
 

✅ 1️⃣ 공기 흡입량 (H010)

  • 24.75 kg/h = 6.88 g/s
    (24.75 ÷ 3.6 = 약 6.88)

앞서 말한 파나메라 V8 4.8L 공회전 정상범위는 10.818 kg/h (35 g/s) 정도가 표준입니다.

즉, 현재는 약간 높은 편입니다.

  • 6.88 g/s → 아이들 rpm이 올라갔거나 부하가 있거나, 공회전 보정이 걸린 상태일 수 있습니다.
  • 예: 팬, 에어컨, 배터리 충전, 저온 시 고아이들(idle-up) 같은 조건.

✅ 2️⃣ 스로틀 밸브 전단 압력 (P010)

  • 1002.47 hPa = 대기압과 거의 동일.
  • 스로틀 바디 전단이니 정상.

✅ 3️⃣ 인테이크 매니폴드 압력 (H065)

  • 332.17 hPa → 공회전 상태라면 정상 범위.
    • 일반적으로 자연흡기 가솔린 공회전은 300~400 hPa 정도.
    • 스로틀이 닫혀 흡기 매니폴드 진공이 걸리기 때문.
    • 값이 낮으면 진공 양호, 높으면 스로틀 열림 과다 의심.

✅ 4️⃣ 매니폴드 목표값 vs 실제값

  • 목표치(H110): 359.45 hPa
  • 실제값(H065): 332.17 hPa
  • 거의 유사 → 스로틀 제어 정상.

✅ 5️⃣ 공기량 보정값

  • H040: 7.928 %
    • MAF 보정 8% 이내면 양호.
    • MAF 센서 보정이 큰 폭으로 들어가면 센서 오염 의심.
    • 현재는 정상 범위.

✅ 6️⃣ 부스트압 적응값

  • H075: 0.08 hPa
    • 터보가 없는 NA 엔진이라 이 값은 거의 의미 없음 → 정상.

✅ 결론

📍 현 상태 요약

  • 아이들 rpm이 약간 높거나 전기 부하(팬, 히터 등)로 인해 MAF 값이 표준보다 높게 나옴.
  • 매니폴드 압력, 목표값 일치, 공기량 보정도 정상.
  • MAF 센서 자체는 정상 작동 가능성이 높음.

🔍 권장 점검

  • 실 rpm 확인 (아이들 rpm이 700대 초중반이라면 정상)
  • 냉간 시라면 고아이들로 약간 높을 수 있음.
  • 팬, 히터, 에어컨 부하 꺼보고 다시 측정해보면 좋음.

필요하다면 실 rpm 데이터, 연료트림(STFT, LTFT), 흡기온도(IAT) 같이 알려주시면 추가로 상태 해석해 드릴게요!
필요하면 말씀해주세요.

----------------------------------------------------------------------------------------

 

폴트코드 뜬게 하나도 없는 상태였는데, 공기흡입량이 좀 이상하다는 답을 해준다.

 

그리고 너무도 알아듣기 쉽게 항목마다 자세히 설명해준다.

 

물론 ai가 틀린 답을 이야기해줄 때도 있다. 정상 수치를 잘못됐다 말해줄 때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 위에서도 틀린 내용이 섞여 있다.

 

파나메라엔 MAF 센서가 없다. 흡기 매니폴드 상단에 MAP 센서가 장착돼 있다. 둘다 공기량을 측정하는 센서이지만 작동방식은 완전히 다르다.

 

이런 경우처럼 사용자가 답을 알고 있어야만 잘못된 답을 내놨는지 찾아낼 수 있다.

 

하지만 모른다 해도 계속해서 연관 질문들을 하고 답변을 받고 하다보면, 자연스레 잘못 알려준 부분이 무엇인지도 알 수 있게 된다.

 

조금 오류가 있을지언정 이 정도 도움을 방구석에서 1분만에 받을 수 있다는 것 자체가 감사한 일이다.

 

이어서 흡기 관련, map센서를 정품 품질에 준하는 보쉬 OEM제품으로 바꿨고, 흡기매니폴드 가스켓도 새걸로 교환된 상태라며 원인을 분석해달라고 해봤다.

 

-----------------------------------------

좋아요. 지금 정황을 정리해보면:

  • 공회전 공기량이 예상보다 높게 나온다 (24.7 kg/h)
  • MAP 센서는 새 걸로 교체했고, 흡기 매니폴드 가스켓도 새 걸로 교체했다
  • 즉, 센서 오류와 매니폴드 가스켓 누출 가능성은 거의 배제됐다

이 상황이라면 공회전 흡기공기량이 많아진 원인은 크게 아래 범위로 좁혀집니다.


✅ 1️⃣ 스로틀 바디(ISC) 과개방

  • 공회전에서 스로틀이 너무 많이 열려 있으면 공기가 더 들어옴.
  • 스로틀 바디 내부 카본이 깨끗해져도 갑자기 아이들 흐름이 바뀌어서 공기량이 높아질 수 있음.
  • 스로틀 바디 자체가 오염 후 청소되면 학습값이 맞지 않아 아이들 제어가 정상 범위 벗어남.
  • 해결: 스로틀 어댑테이션 초기화(러닝) 다시 해야 함.

✅ 2️⃣ PCV 밸브(오일 세퍼레이터) 누설

  • 아까 말했듯이 크랭크케이스 내부 가스가 과도하게 빨려 들어가면 MAF가 감지하는 공기량이 늘어남.
  • 이건 진공 누출로 작용해서 공회전 공기량이 올라가고, 연료트림도 양수로 뜸.
  • 해결: 오일캡 열어서 흡입 진공이 과한지 확인. “뽀글뽀글” 소리, 흡입 저항 강하면 PCV 밸브 이상.

✅ 3️⃣ 스로틀 바디 가스켓 누설

  • 가스켓 새걸로 교체해도 장착면에 이물질이 있거나 볼트 토크가 불균일하면 미세 누설 있음.
  • 매니폴드 가스켓과 스로틀 바디 가스켓은 별개니까 스로틀 바디 쪽은 다시 한번 살펴야 함.
  • 해결: 브레이크 클리너로 스로틀 바디 주변에 뿌려보면 rpm 변동 생기면 그 부위가 샌다.

✅ 4️⃣ 흡기라인 연결 부위 (PCV 호스, 벤트 라인) 누설

  • V8 NA 엔진은 블로바이 가스 라인, 진공 라인, 연료 증발가스 라인(EVAP) 등 연결점이 많음.
  • 이 중 하나만 살짝 빠져 있어도 진공 누출 발생 → 공기량 상승.
  • 해결: 스모크 테스터로 흡기라인 전체 연기 누설 검사.

✅ 5️⃣ MAF 센서 오염 또는 사양 불일치

  • MAF가 지나치게 높은 값을 보내면 공기량이 부풀려져 ECU가 연료를 더 뿌림.
  • 순정 사양 센서가 아니라면 데이터가 다를 수 있음.
  • 해결: MAF 청소, 파트넘버 재확인.

✅ 6️⃣ ECU 학습값 오류

  • 스로틀 바디 학습값과 연료 트림 학습값이 꼬이면 공회전 rpm, ISC 제어, MAF 연동이 꼬임.
  • 배터리 탈거, 스로틀 바디 청소, 센서 교체 후엔 반드시 어댑테이션 리셋 필요.
  • 해결: PIWIS로 스로틀 바디 어댑테이션 초기화 → 아이들 러닝 다시 하기.

🔑 결론: 지금 할 만한 점검 순서

✅ 1) 연료 트림(STFT, LTFT) 수치 확인 → 양수면 흡기 누출 가능성 높음.
✅ 2) 오일캡 열어서 진공 과한지 확인 → PCV 누설 여부 판단.
✅ 3) 스로틀 바디 가스켓 재점검 → 브레이크 클리너로 누설 확인.
✅ 4) 스모크 테스터 가능하면 전체 흡기라인 검사.
✅ 5) 마지막으로 스로틀 바디 어댑테이션 초기화.


필요하면 지금 찍은 연료트림 데이터랑 함께 다시 보여줄래요? 그러면 거의 확정지을 수 있어요!

 

-------------------------------------------------------

 

다양한 원인을 분석해 알려준다.

 

계속해서 더 많은 실시간데이터를 갖다 주면서 분석해달라 하면, 고장 원인은 점차 좁혀질 것이다.

 

그럼 그 중에서 내가 조치할 수 있는 부분들을 해보고, 안 잡히면 다시 AI와 상담하고. 이걸 반복하다 보면, 혼자서도 문제 해결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진짜로 해결됐으면 돈 굳은만큼 한우 사먹으면 된다. 꽁돈으로 먹는 것 같아 더 맛있게 느껴진다.

 

만약 해보는데 까지 해봤는데도 진짜 문제가 안잡힌다면? 그럼 당연히 정비소가서 도와달라고 요청하면 될 일이다. 

 

흡기량이 너무 높고 연료보정이 좀 어쩌고 저쩌고 해서 내가 이거 저거 해봤는데 그래도 안 잡혀서 왔다고 하면, 정비사는 "차주가 좀 아네?"라고 생각할 거다.

 

아무것도 모른 채 카센터 가서  "어휴 큰 문제 같은데..일단 차 두고 가세요. 진단해보고 연락드릴게요.(돈 마니 가져오시구요)" 라는 답변을 듣는 것 보단 훨씬 낫다고 본다.

반응형
댓글